본문 바로가기

同평형他단지 비교

역세권 아파트 비교 / 신분당선 : 분당선

역세권 아파트 비교 / 신분당선 : 분당선

 

 

부동산은 상승시에 거래량이 늘어나는 특성이 있습니다.

하락시 바닥을 확인할 수 없는 관계로 매수 심리가 위축되는 것이 부동산 시장의 특징이기고 합니다.

 

반대로 상승시 더 올라서 기회를 놓칠수 있다는 불안 심리가 작용하게 됩니다.

지금 못 사면 나중에 더 값을 치루고 사는게 아닐까 하는 걱정이 있고 주변에 먼저 매수한 사람에 비해

상대적 재테크 상실감을 갖기 쉽습니다.

 

 조금더 유리한 조건에 아파트를 매수하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하시는 분들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하지만 아파트는 많고 주택 시장은 너무 넓습니다. 

열공하시는 분들중 결과가 아쉽게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경제 공부가 아닌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도 새벽 출근해서 수지 아파트 단지별 시세를 정리합니다. 

과거 시세 및 거래량의 추이를 보고 현재 시장의 분위기를 반영하면 미래의 시세 흐름 파악에 많은 도움이

되는것 같네요.

 

 

[ 오늘의 포스팅 ]

수지 아파트 중에서 현재의 분당선 역세권 단지와 미래의 신분당선 역세권 단지의 매매가 추이를 정리했습니다.

 

수지 죽전 동성2차 아파트 단지와 수지 풍덕천동 신정마을 상록7단지 아파트 비교입니다.

 

==2013년==

✍ 동성2차 : 거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름 폭이 크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 상록7단지 :  투자성 매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이기도 합니다.

 

==2014년==

✍ 상록7단지 : 집계기간(10년1분기~현재)중 거래량이 가장 많습니다. 상승률이 가장 높게 나왔습니다.

✍ 동성2차 : 소형 평수 상승세에 편승했지만 최근 분기 거래량이 늘어 났고 매매가는 약보합을 보인것이

특징입니다.

 

 

==2013년 ^ 33평==

✍ 상록7 :거래량 및 매매가 상승세가 비교 단지에 비교적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 동성2차 : 매매가는 반등했고 거래량도 많이 늘었습니다.

==2014년==

✍ 상록 7단지 : 거래량은 다소 줄어가는 추세이고 매매가는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신규 매물 출현이

현저하게 줄어들면 급상승하는 추세를 보일수 있어보입니다. 실 수요자 및 투자성 매수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단지입니다.

✍ 동성2차 :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1~3층 실거래 신고내역은 집계하지 않았습니다.

 수지 죽전동 동성2차 아파트 23평형 실거래 신고내역입니다. 

 

죽전 동성2차 33평형 실거래 신고내역 

 

수지 풍덕천동 신정마을 상록7단지 25평형 실거래 신고내역입니다.

 

상록7단지 33평형 실거래 신고내역